분류 전체보기(41)
-
[Naiagara] GPU Sprite
Naiagara System의 노드 창이다.- CPU가 생성하는 스프라이트를 GPU에게 떠넘길 수 있다면 참으로 좋은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항상 좋은건 아닙니다만.) 어쨋든 언리얼에서는 그러한 기능을 지원하며, 이는 프로퍼티에서 수정할 수 있다. Simulation Target을 보라, Simulation Target을!- 다만 단순히 GPU로 변경하게 되면 괴상한 오류가 뜨게 되는데, 해당 문제는 바운드 계산 탭을 Dynamic -> Fixed로 바꾸어 주면 해결 되는 문제이다. (아니면 CPU 가 GPU에서 생성된 파티클의 바운드를 알 수 없다.)- 그리고 GPU의 위력은 생각보다 강력한데... - 무려 SpawnRate 1000에 초기 Particle Count가 3000인 상황에서도 잘만 ..
2025.07.01 -
[Naiagara] Introduction to Particle System(1)
- 나이아가라에는 나이아가라 시스템과 나이아가라 이미터가 존재하는데, 레벨에 배치되는 것은 나이아가라 시스템이며 해당 시스템에는 여러개의 나이아가라 이미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이아가라 이미터를 설정할때는 위와 같이 모듈로 이루어진 스테이지 노드가 나타난다. 기존 그래프 이론 덩어리였던 블루프린트와는 차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스테이지에는 4가지 속성이 존재하는데....- Emitter Spawn : 이미터의 초기 설정을 세팅한다. 잘 안쓰인다.- Emiter Update : 생성된 이미터의 변경 사항을 업데이트 한다. 쉽게 말하면, 생성된 이미터에서 얼마나 파티클이 나올지 결정하는 등... 대충 이정도 말하면 느낌이 오지 않겠는가?- Particle Spawn : 생성된 파티클의 초기 ..
2025.07.01 -
Multiple access protocols
Multiple Access Protocols- 때는 바야흐로 무선 인터넷의 시대, 개나 소나 NIC를 들고 다니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꿈만 같은 무선 인터넷에도 희대의 문제가 있었으니, 바로 한 Channel에 여러대의 디바이스가 접근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 것이다.- 두개나 그 이상의 노드에서 동시에 전송하게 되면 이는 Collision이라고 칭해진다.- 이에 노드들이 어떻게 채널들을 북치고 장구치게 분배할지 결정할 필요가 생겼고, 분산적으로 작동하는 알고리즘인 MAP가 탄생하게 되었다. (다만 채널을 나누는 통신은 그 채널 자체에서 해결해야만 한다.) MAC Protocol에는 Channel Partitioning, Random access, Taking turns가 존재한다.- Channel P..
2025.07.01 -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oftware Defined Networking?- 때는 바야흐로 21세기, 컴퓨터 한대만 있으면 Interface를 통해서 북치고 장구치고를 다 할 수 있는 세상이 도래했다. 즉 기존에는 특정 기능을 위한 Hardware가 존재했다면(ASIC랑 유사한 느낌) 이제는 소프트웨어단에서 처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라우터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렇게 변하고야 말았으니, 이를 Software Defined Networking이라고 한다. 대충 이런 식의 느낌이라고 해야할까.- 이때 특징적으로 SDN은 Remote Controller에 의해서 Table들이 Logically Centralized되는게 특징이다.- 이는 네트워크 관리가 쉽고, Table을 조정하면서 라우터를 마치 "프로그래밍" 할 수 있게..
2025.07.01 -
Control Plane - OSPF, BGP
- 지난 시간에 설명한 다익스트라 모시깽이 알고리즘과 DV 알고리즘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으니, 라우팅 테이블에 어떻게 수많은 인터넷 상의 라우터 정보를 저장하고 교환하겠는가?- 또한 인터넷은 네트워크들의 집합이니, 각 네트워크의 관리자들은 특정 IP를 차단한다거나 등의 행동을 하고 싶을 수도 있다. - 그래서 Scalable한 Routing을 위해서 특정 라우터들 끼리 Autonomous라는 명목 하게 알잘딱깔센으로 종합했으니, 이를 줄여서 AS(Autonomous Systems)라고 한다. (AS의 대표적인 예로는 ISP를 생각해 볼 수 있다.)- AS는 intra-AS(내부)와 inter-AS(외부간)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intra-AS 내부의 라우터들은 반드시 같은 도메인 프로토콜로 돌아..
2025.07.01 -
Control Plane - Routing Protocols
Routing Protocols- 자고로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함은, 패킷을 호스트에서 호스트로 보내는데에 있어서 최적의 경로를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최적이란 "비용이 적고, 빠르고, 덜 혼잡한"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이때, 라우터들 간의 경로를 찾을때는 그래프가 사용된다. 또한 각각의 링크에는 코소트를 붙여서 계산하게 된다. 이때, Ca_b를 a와 b사이에 직접적인 연결 비용이라 한다. (만약 Ca_b가 infinity면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경로 X)Dijkstra's link-state routing alogrithm- 만약 네트워크의 link cost가 모든 노드들에게 알려져 있고, 각각이 동일하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가는데 까지 걸리는 최소한의 cost를..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