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1)
-
조선반도와 위계질서 : 새로운 형태의 계급
자고로 우리 아름다운 조선반도에는 양천제라는 신분제도가 500년 이상 이어져 왔다. 물론 이를 결정짓는 것은 현대의 대표적인 가치로 여겨지는 자본/능력/외모는 아니었고, 단순히 세습과 혈통이었다. 다만 그럼에도 장영실과 같은 케이스처럼 어느정도의 융통성은 있었고, 사회적인 계층간의 갈등은 있었을 지언정 이 자체에 대한 불만은 조선 중기까지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다만 화폐 경제가 들어오고, 그놈의 "유교식 문화"가 자본주의와 결합하면서 상당히 기괴한 신분제 제도가 이어졌다. 그리고 우리 "위대한" 흥선대원군을 필두로 한 그놈의 사상논쟁으로 나라가 셔터를 닫은 사이 - 메이지 유신을 먼저 단행한 일본에 의해 식민지가 되어 버렸다. 그리고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노력이 있었다고는 하나, 결국엔 나가사키와 히로..
2025.08.04 -
ㅈ같아서 못해먹겠다
최근 팀원간의 "분쟁"에서 촉발된 불안/우울/PTSD의 악화로, 응급입원을 간신히 면하고 우리 "집"에 쳐박힌지 대충 1달이 넘어간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 보살을 외치는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면 내 잘못 뿐 아니라 다른 잘못도 말하고 싶지만, 내 내면에서는 그러고 싶지는 않다. 다만 이를 비롯한 여러가지 원인에서 촉발되는 스트레스는 화병을 돋구는데, 대표적인게 병무청이다. 이놈들은 나를 기여코 훈련소로 끌고 가려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훈련소를 빠지면 인생이 꼬인다. 정신과 사유로 공익을 받은 친구들에게 물어보니 - 우울/불안 장애로 한번에 4급을 맞은 경우는 드물고 7급을 한 2~3번은 준다고 한다. 즉슨, 내가 지금 당장 7급을 받으면 내년도 공익도 지원 못하고 그냥 빌빌대는 거다. 입영판정검사에서..
2025.07.17 -
[Unity] 처음 배울 때 만들어 본 것들
세계관 전도! 마크 시드에서 대충 뽑아서 그럴듯 하게 만들어 보았다.주인공 레이니크의 시안들. 결과적으로 제일 무난한 파란색이 채택되었다. 2, 3, 4는 어디서 많이 본 캐릭들이라 기각. 메인 화면! UI에 애니메이터를 붙여서 만들었는데, 이거 이렇게 해도 되는 건지 잘 모르겠다.그림자 적용무식하게 설계한 UI대충 기획한 맵들 그리고 대략 23년 3월, 한달이 지났을 무렵 이 리소스들은 관짝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러모로 재미있는 경험이었어요 :) 마지막으로 언제나 리소스를 제공해 주신 청강문화산업대학교 Omegu 학생에게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2025.07.01 -
벡터장의 flux, 발산 정리, 그린/스토크스의 정리
벡터장의 flux?????????flux의 경우는 간단하게 말해서, 단위 시간당 경로를 따라 빠져나간 유입/유출량이 얼마인가? 를 따진다고 볼 수 있다. divergence의 경우는 미소 영역(점?)에 대해 논하지만, flux의 경우에는 좀 더 스케일이 커진 케이스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이 벡터장은 중심에서 바깥으로 퍼져 나가는 형태이고, 모든 점에서 Divergence가 양수일 것이다. 물론 Flux라고 해서 크게 다를건 없어 보이고, 실제로도 양수이다. 결론적으로 경계 안/밖으로의 유입/유출량에 대한 정보가 Flux가 될 것인데, 근데 왜 공식이 저렇게 되는지 의문이 들 수 있을 것이다. 아래와 같은 조건이 있다고 해보자.파란 화살표는, 각 면의 중점에서 측정한 벡터장이다.빨간 화살표는, 각 면의 ..
2025.07.01 -
Divergence, Gradient, Curl, Laplacian
Vector Filed(벡터장)은 유클리드 공간의 각 점에 벡터를 대응시킨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Scala Field라고 하면은, 유클리드 공간의 각 점에다가 어떤 스칼라 값을 대응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때 이들에 대한 연산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은 Divergence, Gradient, Curl등이 있는데, 아래에서 소개하도록 하겠다.Ref : Encyclopedia Magnetica, 가장 잘 설명한 그림인 것 같아서 가져왔다. Divergence (발산, Vector Field -> Scala Field)Divergence는 발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아마도 기초 미적분학에서는 무한급수의 수렴/발산 판정법을 다룰때 들어 봤을 것이다. 물론 Vector Field에 대한 Divergenc..
2025.07.01 -
[CG] 폴리곤 메쉬 표현 기법
삼각형 메쉬를 표현하는 단순한 방법은, 그냥 버퍼에다가 어떤 삼각형의 정점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다. 이를 정점 버퍼라고 부르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중복되는 데이터가 다수 기입되는 문제가 있다. 폴리곤의 수가 적다면 딱히 문제가 될 것은 없어 보이나, 만약 폴리곤의 수가 상당히 많은 경우 (특히 요즘 같은 게임에서는) 데이터 저장 공간을 과다하게 차지하게 된다. 이럴때 사용 하는 것이 인덱스 버퍼이다. 이는 어떤 모델의 정점은 여러개의 삼각형이 참조함에서 기인한 것으로, 정점 버퍼에 정점들을 저장하고 (중복은 X) 이들을 가리키는 인덱스 버퍼의 인덱스로 삼각형의 위치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인덱스 삼각형 리스트라고 한다. 다만 통상적으로, 정점의 좌표(위치)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법선 벡터(n..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