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nic Engineering(10)
-
벡터장의 flux, 발산 정리, 그린/스토크스의 정리
벡터장의 flux?????????flux의 경우는 간단하게 말해서, 단위 시간당 경로를 따라 빠져나간 유입/유출량이 얼마인가? 를 따진다고 볼 수 있다. divergence의 경우는 미소 영역(점?)에 대해 논하지만, flux의 경우에는 좀 더 스케일이 커진 케이스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이 벡터장은 중심에서 바깥으로 퍼져 나가는 형태이고, 모든 점에서 Divergence가 양수일 것이다. 물론 Flux라고 해서 크게 다를건 없어 보이고, 실제로도 양수이다. 결론적으로 경계 안/밖으로의 유입/유출량에 대한 정보가 Flux가 될 것인데, 근데 왜 공식이 저렇게 되는지 의문이 들 수 있을 것이다. 아래와 같은 조건이 있다고 해보자.파란 화살표는, 각 면의 중점에서 측정한 벡터장이다.빨간 화살표는, 각 면의 ..
2025.07.01 -
Divergence, Gradient, Curl, Laplacian
Vector Filed(벡터장)은 유클리드 공간의 각 점에 벡터를 대응시킨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Scala Field라고 하면은, 유클리드 공간의 각 점에다가 어떤 스칼라 값을 대응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때 이들에 대한 연산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은 Divergence, Gradient, Curl등이 있는데, 아래에서 소개하도록 하겠다.Ref : Encyclopedia Magnetica, 가장 잘 설명한 그림인 것 같아서 가져왔다. Divergence (발산, Vector Field -> Scala Field)Divergence는 발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아마도 기초 미적분학에서는 무한급수의 수렴/발산 판정법을 다룰때 들어 봤을 것이다. 물론 Vector Field에 대한 Divergenc..
2025.07.01 -
Multiple access protocols
Multiple Access Protocols- 때는 바야흐로 무선 인터넷의 시대, 개나 소나 NIC를 들고 다니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꿈만 같은 무선 인터넷에도 희대의 문제가 있었으니, 바로 한 Channel에 여러대의 디바이스가 접근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 것이다.- 두개나 그 이상의 노드에서 동시에 전송하게 되면 이는 Collision이라고 칭해진다.- 이에 노드들이 어떻게 채널들을 북치고 장구치게 분배할지 결정할 필요가 생겼고, 분산적으로 작동하는 알고리즘인 MAP가 탄생하게 되었다. (다만 채널을 나누는 통신은 그 채널 자체에서 해결해야만 한다.) MAC Protocol에는 Channel Partitioning, Random access, Taking turns가 존재한다.- Channel P..
2025.07.01 -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oftware Defined Networking?- 때는 바야흐로 21세기, 컴퓨터 한대만 있으면 Interface를 통해서 북치고 장구치고를 다 할 수 있는 세상이 도래했다. 즉 기존에는 특정 기능을 위한 Hardware가 존재했다면(ASIC랑 유사한 느낌) 이제는 소프트웨어단에서 처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라우터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렇게 변하고야 말았으니, 이를 Software Defined Networking이라고 한다. 대충 이런 식의 느낌이라고 해야할까.- 이때 특징적으로 SDN은 Remote Controller에 의해서 Table들이 Logically Centralized되는게 특징이다.- 이는 네트워크 관리가 쉽고, Table을 조정하면서 라우터를 마치 "프로그래밍" 할 수 있게..
2025.07.01 -
Control Plane - OSPF, BGP
- 지난 시간에 설명한 다익스트라 모시깽이 알고리즘과 DV 알고리즘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으니, 라우팅 테이블에 어떻게 수많은 인터넷 상의 라우터 정보를 저장하고 교환하겠는가?- 또한 인터넷은 네트워크들의 집합이니, 각 네트워크의 관리자들은 특정 IP를 차단한다거나 등의 행동을 하고 싶을 수도 있다. - 그래서 Scalable한 Routing을 위해서 특정 라우터들 끼리 Autonomous라는 명목 하게 알잘딱깔센으로 종합했으니, 이를 줄여서 AS(Autonomous Systems)라고 한다. (AS의 대표적인 예로는 ISP를 생각해 볼 수 있다.)- AS는 intra-AS(내부)와 inter-AS(외부간)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intra-AS 내부의 라우터들은 반드시 같은 도메인 프로토콜로 돌아..
2025.07.01 -
Control Plane - Routing Protocols
Routing Protocols- 자고로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함은, 패킷을 호스트에서 호스트로 보내는데에 있어서 최적의 경로를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최적이란 "비용이 적고, 빠르고, 덜 혼잡한"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이때, 라우터들 간의 경로를 찾을때는 그래프가 사용된다. 또한 각각의 링크에는 코소트를 붙여서 계산하게 된다. 이때, Ca_b를 a와 b사이에 직접적인 연결 비용이라 한다. (만약 Ca_b가 infinity면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경로 X)Dijkstra's link-state routing alogrithm- 만약 네트워크의 link cost가 모든 노드들에게 알려져 있고, 각각이 동일하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가는데 까지 걸리는 최소한의 cost를..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