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nic Engineering(10)
-
Data Plane - NAT, DHCP
NAT?- 때는 바야흐로 절망의 21세기, 42억 모시깽이 밖에 안되는 IP주소의 개수로는 70억 인구의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어졌다. 이에 여러개의 디바이스가 하나의 IPv4주소를 공유하는 장치가 탄생했으니, 그것을 우리는 공유기(NAT)이라고 하기로 했다.- NAT 라우터는 반드시 아래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 1. 라우터에서 나가는 Datagram에 대해서는 반드시 (Source IP, Port) -> (NAT IP, new Port)와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2. NAT Translation Table을 통해서 반드시 ((Source IP, port), (NAT IP, new port))의 쌍을 기억해야 한다.- 3. 라우터로 들어오는 Datagram애 대해서는 반드시 (NAT IP, n..
2025.07.01 -
Data Plane - IP Datagram, Subnets
뭔가 엄청나게 복잡하지만 굳이 다 외워야 할 까 싶은 생각이 든다.Internet Protocol?-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간에 패킷을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규정하는 규약이다.- IP Datagram의 Format은 위 사진과 같이 생겼다.- 위 Header Field중 TTL은 Packet이 지날 수 있는 최대 홉수를 (뺑뺑이 방지용) 가리키는 Field이고, flgs/fragment offset은 데이터를 잘라서 보내야 하는 경우 사용하는 Field이다.- IP 주소에 관해서는 다른 사이트에 잘 나와있으니 생략한다. 이 뭔? Subnet- Device interfaces that can physically reach each other without passing through an int..
2025.07.01 -
Data Plane - Router Architecture
Ref : Computer Networking - A top down approachData Plane?- 지역적이고, 라우터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기능의 영역.- 라우터에 도착하는 데이터그램(Network Layer)이 어느 라우터로 나갈지를 결정한다. Control Plane?- 네트워크단의, 광범위하게 작동하는 로직(기능)의 영역.- 데이터그램이 라우터들 사이에서 어떻게 전달될지 결정한다.- Control Plane에는 전통적인 알고리즘 결정 방식과 SDN 방식이 존재한다. Ref : Computer Networking - A top down approachRouter Architecture Overview- High-speed Switching fabric은 하드웨어 단에서 ns단위로 동작하며, 어..
2025.07.01 -
Reliable Data Transfer Protocol(rdt)
Reliable Data Transfer Protocol (rdt)- 패킷 로스가 나는 상황이나 순서대로 패킷이 들어오지 않는 등, 네트워크 상의 Channel들은 대부분 신뢰도가 떨어지는(Unreliable) 경우가 많다. 이때 이러한 Channel상에서 Reliable한 Data Transfer를 해보자! 는게 rdt 프로토콜이다. rdt 1.0 : 신뢰 가능한 채널에서 신뢰성 있는 전송 - 기본적으로 (외계인이 만든 하이테크놀로지던 간에) 신뢰 가능한 채널이 있다고 가정하므로, rdt 1.0의 구조는 단순하다.- Sender는 데이터가 들어오면 패킷으로 만들어서 보내고, 리시버는 들어오면 뽑아서 message를 프로세스에 보낸다.- 근데 문제는 현실에서 이럴리가 없으므로... rdt 2.0 : 비트..
2025.07.01